본문 바로가기
건강

무릎 인대 이야기(1) - 전방십자인대 부상 수술

by 지키미이 2020. 4. 10.
반응형

무릎 인대 수술에 관한 첫번째 이야기

(Knee ligament surgery 1st)

- 전방 십자 인대 -

 

 

 

무릎 인대 수술에 대한 이야기를 오늘 해보려 합니다.

평소 건강에 관심이 많은 필자이지만

운동을 너무 좋아해 몸이 많이 다쳤고

무릎 수술만 두번 정도 진행하였습니다.

 

추후 제가 했었던 반월상연골 관련 수술을 포스팅할 예정인데

오늘 반월상연골 수술이 아닌 인대 수술을 포스팅 하는 이유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수술 하는 부위가 무릎 인대이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 가능 흔한 부상 부위는 바로 십자인대이지요

 

무릎 인대 수술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쭉 읽어보세요

 

 

"만약 당신의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가 끊어졌을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고 있는가??"

많은 분들이 신체의 조직은 손상이 갔을 경우 자연 치유에 의해 자연스러운 회복이 있을 거라 생각하시겠지만,

불행히도 재건 수술을 통해 끊어진 인대를 이어야합니다.

 

인대의 경우 손상되었을 경우 자연 치유가 되지 않은 신체 조직입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허벅지뼈와 정강이뼈를 연결해주는 아주 튼튼한 신체 조직입니다.

십자라는 명칭이 붙게 된 이유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가 십자 모양으로 가로지르며 무릎을 지탱해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이 십자인대들은 무릎 안쪽을 대각선으로 지나며 무릎 관절에 안정성을 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안정성을 주는 동시에 하퇴부가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에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죠.

그래서 십자인대 중 하나라도 손상이 가거나 약해졌을 경우 무릎의 불안정성이 생기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십자인대의 손상은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요??

 

 

1. 전방십자인대의 부상

무릎 부상은 보통 스키, 테니스, 스쿼시, 축구, 럭비와 같은 격렬한 운동을 하다 발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방십자인대의 부상은 무릎 부상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로

모든 스포츠 부상에서 약 40%를 차지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다치는 부위입니다.

무릎 부위가 갑자기 너무 뻣어지거나,

무릎이 교차되는 시점에서 찢어질 수 있는데요

아래에서 어떤 경우가 전방십자인대가 주로 다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 점프를 했다가 착지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자세나 너무 큰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2) 달리기를 하는 과정에서 몸이 견디지 못할 정도로 갑자기 정지했을 경우

3) 직선상 거리로 가다가 갑자기 방향전환을 해서 무릎에 무리한 회전력이 전달 되었을 경우

4) 축구나 럭비 등 구기 종목을 하다가 태클을 하거나 당했을 때 충돌에 의해 높은 에너지가 발생했을 경우

 

위에서 말했지만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방십자인대가 다쳤을 경우

무릎에 불안정성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그로 인해 무릎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기게 되고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생기게 되죠

 

2. 전방십자인대 수술을 결정하는 과정

무릎 수술을 하기로 마음 먹는 과정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와

스스로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 입니다.

전방십자인대의 경우 손상부위가 심하지 않는 경우

주변 부위의 근육을 강화시켜

굳이 수술을 권장하지 않고 있지만

최근 의술의 발달로 인해

어떤 사람들은 수술하고 나면

무릎이 더 튼튼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말들은 사람들마다 다르고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선택해야 할 문제입니다.

무릎이 불안정하지 않고

생산적인 일상생활에서 큰 무리가 없다면

굳이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불안정성이 크고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낄 정도인 상태에서

수술을 미루는 더 큰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떄문에

수술을 받기 위한 의사와의 면담을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수술 전

전방십자인대 수술을 받기 위해서는 다친 무릎의 붓기가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무릎이 완전히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움직임이 다 나오지 않는 경우 수술 이후에 재활하는 과정에서 무릎 회복이 늦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어떤 의사의 경우 허벅지 앞쪽 근육(넙다리 네갈래근)과 뒤쪽 근육(햄스트링)의 근력에 따라

수술 여부를 결정하기도 하는데

정확한 상담은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가 진단을 받아보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 이후에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 있어

최소 3주 정도의 시간이 걸리므로

이러한 부분을 정확히 정형외과 전문이에게 상담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수술 이후에 물리치료를 꼭 받아야 하므로

자신에게 맞는,

혹은 물리치료를 잘하는 곳을 미리 알아두어

수술 이후 적극적인 자세로

물리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하고 바로 착용해야 하는

무릎 전용 보조기기가 있으니

그러한 것도 미리 구매 해놓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은 전방십자인대가 손상될 수 있는 원인과

수술 전 단계에서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전방십자인대 수술에 대한 이야기와

수술의 위험성,

수술 이후 어떻게 회복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모두 항상 건강 잘 챙기시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