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허리디스크의 증상, 원인, 합병증, 예방방법(추간판탈출증)

by 지키미이 2020. 5. 4.
반응형

허리디스크

- 증상, 원인, 합병증, 예방 -

(추간판탈출증)

 

 

 

 

 

 

허리디스크란??

우리가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부르는 질병의 진단명은 "추간판탈출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의 척추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쿠션 역할을 하고 있는 연골판을 디스크라고 부르는데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쉽게 허리디스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하 이 디스크가 찢겨지거나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탈출하게 된 경우 근처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발생시키거나 위치에 따라 팔이나 다리에 마비 또는 약화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의 생활습관이 허리디스크를 발생시키기 쉬운 자세로 대부분의 생활을 하고 있는데 어떤 증상이 있고 원인, 합병증, 예방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상

어느 부위의 디스크가 악화되는지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지만 대부분 목이나 허리에서 발생합니다.

디스크의 상태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지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팔이나 다리의 통증

: 디스크의 손상이 목쪽에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어깨와 팔에 통증이나 나타나게 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 특정 움직임을 할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허리부위의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경우 엉덩이나 허벅지, 종아리에 통증이 나타나며 발바닥 일부 부위에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종류는 사람마다 유형마다 다르지만 날카롭게 콕콕 찌르거나 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마비 또는 저림

: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초기에는 저릿저릿한 저림이 나타나다가 더 심해질 경우 마비까지 올 수 있습니다.

 

3) 약화

: 디스크로 인해 신경이 눌릴 경우 해당 신경의 영향을 받는 근육이 약해지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힘을 주는 등의 움직임에 어려움이 나타나거나 바닥에 있는 물건에 걸려 넘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

대부분의 원인은 노화로 인한 자연 퇴화에서 비롯되어 디스크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약간의 변형이나 비틀림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경우입니다.

 

1. 위험요소

디스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거운 무게

: 과도한 무게를 들어 올릴 경우 허리 부위의 디스크에 많은 스트레스를 발생시킵니다.

 

2) 직업적 특성

: 신체적인 움직임이 많은 직업을 가진 경우 반복적인 들기와 당기기, 밀기, 옆으로 구부리기 등으로 인해 디스크 발생 비율이 높아집니다.

 

3) 유전적 영향

: 유전적으로 물려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4) 흡연

: 흡연으로 인해 디스크의 산소 공급이 줄어들게 되어 디스크가 더 빨리 분해됩니다.

 

 

합병증

드물지만 위에 말했던 증상들 이외에 다른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추에는 척수라는 신경들이 지나나고 있는데 그로인한 신경 마비들이 올 수 있습니다.

 

1) 방광 또는 장 기능 장애

: 방광이나 장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요실금이나 기타 배뇨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감각 저하

: 흔히 안장 닿는 부위라고 하는 허벅지 안쪽과 다리 뒷 부분의 감각이 얼얼해지고 감각이 저하됩니다.

 

 

예방방법

가장 좋은 예방방법은 모두가 알 거라 생각됩니다.

아래 나와있는 방법들을 참고하셔서 건강한 허리 지키시길 바랍니다.

 

1) 운동

: 몸통 근육을 강화하여 척추가 흔들리지 않도록 튼튼한 몸통 근육을 만듭니다.

 

2) 올바른 자세 유지

: 올바를 자세를 유지할 경우 척추와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 등을 똑바로 정렬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경우 올바른 자세에서 들어올려야 합니다.

 

3) 체중 관리

: 몸무게가 늘어날 경우 자연스럽게 체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척추와 디스크로 전달되기 때문에 체중 감량이 좋은 예방 방법중 하나입니다.

 

4) 금연

: 금연을 함으로써 디스크에 충분한 산소와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