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절염 증상, 원인, 합병증

by 지키미이 2020. 5. 2.
반응형

관절염

- 증상, 원인, 합병증 -





오늘은 관절염에 대한 설명과 증상, 원인, 합병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관절염이란??

관절염은 하나 이상의 관절에서 붓기가 나타나거나 뻣뻣함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뒤에서 다시 말씀 드리겠지만 관절염의 주요 증상은 관절의 통증과 뻣뻣함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지만 운동을 많이 하거나 관절 손상이 있을 경우 어린 나이대에서도 발병합니다.

가장 흔한 관절염의 종류로는 골관절염과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있습니다.



관절염 증상

관절염의 가장 흔한 징후와 증상은 관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관절염의 종류에 따라 증상과 징후는 달라지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및 징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통증

2) 뻣뻣함

3) 부종(부어오름)

4) 홍반(붉어지는 현상)

5) 관절 움직임 범위 감소



관절염 원인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인 골관절염과 류마티스성관절염은 다른 형태로 관절염을 유발시킵니다.


1. 골관절염

흔히 가장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관절염의 형태로

연골(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는 단단한 조직으로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직)의

마모와 찢겨짐 등의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게 됩니다.

연골의 역할은 뼈 끝부분에 위치하여 쿠션역할을 하면서 체중을 흡수하는 역할과 함께

부드러운 관절 움직임을 위해 마찰 없는 동작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하지만 연골이 손상되었을 경우 뼈에서 뼈로 직접 체중이 실리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골이 손상되면서

통증과 움직임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연골의 손상과 마모는 수년에 걸쳐 발생하거나 관절 부상 또는 감염에 의해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골관절염으로 인한 손상은 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관절을 이루고 있는 주변 조직(근육, 인대, 힘줄)에 영향을 미쳐

또다른 악화를 유발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2.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경우 신체의 면역 체계가 관절 내벽을 외부 조직으로 인식하여

관절 내벽에서부터 관절을 감싸고 있는 막인 관절 캡슐의 안감까지 공격을 시작하여

관절 전체를 손상시키는 질병입니다.

면역 체계의 공격으로 인해 캡슐 안감(활막)에는 염증이 생겨 부풀어 오르게 되고 열감이 나타나며

결국 관절 내 연골과 뼈를 손상시키는 지경까지 이르게 됩니다.



관절염을 일으키는 위험요소

관절염을 일으키는 요소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1) 가족 병력

모든 사람들이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 중 부모나 형제, 자매에게 관절염이 있을 경우

당신에게도 관절염이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유전자에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는 정보가 있을 경우 환경적 요인에 의해 다른 사람에 비해 더 높은 확률오 나타나게 됩니다.


2) 나이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병 확률이 증가합니다.


3) 성별

남성에 비해 여성이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걸릴 확률이 더 높으며

다른 유형의 관절염인 통풍의 경우 여성보다 남성의 발병률이 더 높습니다.


4) 관절 손상 경험

운동을 하거나 일상생활을 하던 중에 관절을 다친 경험이 있을 경우 관절염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5) 비만

신체의 과도한 무게 지지로 인해 관절, 특히 무릎, 엉덩이, 척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많아지고

자연스럽게 관절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관절염의 합병증

심한 관절염의 경우, 특히 손이나 손목, 팔에 영향을 주거나 체중을 싣는 관절일 경우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편안하게 걷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 관절의 변형으로 인해 관절이 꼬이거나 굳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관절염의 진단방법과 치료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